4.VTP (VLAN Trunking Protocol)
VLAN과 트렁크를 관리하기 위한 cisco 전용 protocol
이점 : VLAN설정의 연관성을 제공 VLAN들의 정확한 추적(트랙킹)과 모니터링이 가능
VLAN에 대한 동적보고
VLAN추가시 동적으로 트렁크를 생성(플러그 앤 플레이)
dot1q => native VLAN지원
Server = VLAN생성, 설정, 삭제 가능
Client = VLAN생성, 설정, 삭제 불가능
VTP 사용시 VLAN 정보 동기화를 위해서는 스위치들의 VTP Domain 이름을 같게 설정
VTP Domain => VLAN관리 작업의 양을 줄이는 것을 돕기 위해 작은 관리 도메인들로 나누며 불필요한 트래픽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도메인을 나누어 준다.
VTP 광고 => VTP 도메인 전체를 동기화 하기 위해 VLAN설정을 알림
VTP 모드 => Server, Client, Transparent모드
VTP server(스위치의 기본설정) => VTP 도메인 내에 VTP가 활성화된 스위치에게 VLAN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
VLAN의 생성, 삭제, 이름 변경가능, NVRAM에 정보저장되므로 정보 유지
VTP Client => VLAN에 대한 생성, 삭제, 변경불가, Server로부터 광고를 받아 VLan 정보 저장
Client 스위치는 RAM에 저장된 VLAN정보를 저장하므로 파워가 내려가면 사라짐
VRP Transparent (VTP는 끌 수가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을시 적용하는 모드)
=> VTP 광고들을 Client와 Server로 전송은 하지만, 별도의 VLAN정보 가짐, VTP 광고를 생성하지만 특정한 스위치를 전달, 독자적인 VLAN정보를 가지고 꺼져도 유지한다.
'Network > LAN Switching and wireles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6.Implement inter-VLAN Routing(VLAN간 라우팅) (0) | 2015.09.04 |
---|---|
Implement Spanning Tree Protocols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0) | 2015.09.04 |
VLAN (0) | 2015.09.04 |
Configure a Switch(스위치 설정) (0) | 2015.09.04 |
LAN Design (0) | 201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