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Implement Spanning Tree Protocols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Spanning Tree Protocol) => 802.1D에서 정의된 STP는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루핑을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 스위치나 브리지 구성경로에서 경로가 두 개 이상시 한 개의 경로를 빼고 끊어버린다.
STP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문제점
-MAC주소 불안정성
-브로드캐스트 스톰
-중복된 유니캐스트 프레임
STP 동작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브리지를 가짐
-루트브리지가 아닌 다른 브리지는 하나의 루트포트를 가짐
-세그먼트당 하나의 DP(저장포트)FMF RKWLA
-루트포트나 지정포트가 아닌 포트는 막음
Root Bridge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내 제일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스위치
Root Bridge 설정 : 1.낮은 cost 2.낮은 sender Bridge-ID 3.낮은 sender Port number
Bridge ID (= Bridge Priority MAC address / 8byte) : 우선순위값, 확장시스템ID, 스위치MAC주소로 구성된 BPDU안의 하나의필드
경로비용 : 각각의 스위치에서 루트 브리지로 향하는 경로의 개별 출력포트에 비용을 더한 값
10Gb/s = 2, 1Gb/s = 4, 100Mb/s = 19, 10Mb/s : 100 (개정된 IEEE 스펙 비용 (STP COST))
STP는 스위치에서 BPDU라는 프레임 전달하여 계산
BPDU 프로세스(처리과정) => 루트 브리지 선정을 위해 스위치는 BPDU교환
1.스위치 부팅 2.자신이 루트브리지라고 가정하고 BPDU프레임을 Default(2초)간격으로 전송
3.스위치들은 각 BPDU수신 (BPDU의 BID값이 낮으면 버리고, 더 좋은 값이면 그 값으로 업데이트)
4.Bridge ID 비교 후 경로비용과 로컬 Root ID 업데이트
설정 : #spanning-tree vlan ID root promary => spanning-tree vlan ID priority 4096
Root Port : 루트 스위치가 아닌 스위치에 하나의 루트포트지정, 루트 브리지를 향해가는 최저의 경로비용을 가지는 포트
지정포트 : 동일한 세그먼트 / 충돌 도메인에 연결되어있는 각 스위치의 모든 포트중 최상의 BPDU를 광고하는 포트
비지정포트 : 차단된 상태의 포트
STP 프로토콜에서의 포트상태와 BPDU 타이머의 역할
=> Hello time : 포트로 전송되는 각 BPDU프레임의 시간 간격
Forwarding Delay : 차단 -> 전달 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
Maxage : 헬로청취 충단 후부터 STP토폴로지 변경 전 까지 스위치가 대기하는 시간
포트상태
Disable : 일부로 shutdown 시킨 상태 (데이터전송X, MAC주소학습X, BPDU교환X)
상태 구분 4단계
1.Blocking : 처음 스위치를 키거나 Disable를 풀었을 때 (데이터X, MAC주소학습X, BPDU교환O)
2.Listening : 루트포트나 지정포트로 선정되면 들어가는 상태(데이터X, MAC주소학습X, BPDU교환O)
3.Learning : Listening에서 15초 유지시 넘어감(데이터X, MAC주소학습O, BPDU교환O)
4.Forwarding : Learning에서 15초 유지(데이터O, MAC주소학습O, BPDU교환O)
PVST : 시스코에서 만든 시스코 전용 프로토콜 PVST (STP에서 per-vlan(각 vlan마다 다른 spanning-tree 인스턴스구성)기능추가)
PVST+ : VLAN마다 다른 STP인스턴스를 가지며 ISL트렁킹과 802.1Q 트렁킹 제공, BPDU가드와 루트가드 추가
BPDU 가드 : 포트 또는 인터페이스가 BPDU수신 시 설정된 포트 비활성화
RSTP : 기본적으로 STP와 같으며 “이웃과 제안/동의”기능 추가, 수령시간이 빠르며 STP의 타이머 사용X
RSTP 포트
지정포트(designted port) : 특정 세그먼트에서 루트 스위치로 프레임이 전송되는 포트(STP와 동일)
루트포트(root port) : 특정 스위치에서 루트 스위치 방향으로 데이터 프레임이 전달되는 유일한 포트(STP와 동일)
백업포트(backup port) : 지정포트가 다운되면 그 역할을 이어받는 포트 (데이터X, 차단상태) =>STP NON-switch device
대체포트(alternate port) : 루트포트가 다운되면 그 역할을 이어받는 포트(데이터X, 차단상태) => STP NON-pp
RSTP링크 종류
포트의 Duplex에 대한 구분
점대점(point-to-point) : Full Duplex로 동작
공유(Shared) : Half Duplex로 동작
장비에 따른 분류
링크 : 상대장비도 RSTP로 동작하는 스위치의 연결포트
에지(Edge) : PC, 서버등과 같이 Spanning-tree가 동작하지 않는 종단 장치와 연결된 포트
피어(Peer) : STP와 같이 RSTP가 아닌 프로토콜로 동작하는 스위치와 연결된 포트
RSTP 포트 상태
폐기, 포기(Discarding) : BPDU만 청취(=STP차단) (데이터X, MAC주소 학습X, BPDU처리O)
러닝, 학습(Learning) : MAC주소 채우기 시작(=STP와 동일) (데이터X, MAC주소 학습X, BPDU처리O)
포워딩, 전달(Forwarding) : 데이터프레임 스위칭 하기 시작(=>STP와 동일) (데이터O, MAC주소 학습O, BPDU처리O)
STP와 RSTP비교
Blocking <-> Discarding / Listening <-> Discarding / Learning <-> Learning / Forwarding <-> Forwarding
'Network > LAN Switching and wireles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ure a Wireless Router (무선 라우터 설정) (0) | 2015.09.04 |
---|---|
6.Implement inter-VLAN Routing(VLAN간 라우팅) (0) | 2015.09.04 |
VTP (VLAN Trunking Protocol) (0) | 2015.09.04 |
VLAN (0) | 2015.09.04 |
Configure a Switch(스위치 설정) (0) | 201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