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
=>LAN과 LAN을 연결시킨 광역 네트워크망(지역적인 범위)
통신업체에서 회선임대, 물리(전송) /데이터링크(주소지정,흐름제어,캡슐화) /네트워크계층과 연관
특징 : LAN과 LAN끼리 연결가능, LAN망보다 속도가 느리고 직렬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Link Layer Protocol
지역적거리제한X, LAN보다 복잡한 망구성, 비용상승, 네트워크망
구간장비
Router : 원거리 데이터 전송
WAN교환기 : 다중포트지원, Frame Relay, X.25, ATM등의 트래픽교환
모뎀 : 신호변조/복조를 통해 디지털신호와 아날로그신호 변환장치
CSU/DSU : DCE장비에 속하는 디지털인터페이스 모뎀, DTE장비인 컴퓨터니 라우터에 연결
(CSU : 여러채널 모아서 한번에 보내는 것을 수용하는 장비)
DTE(Data Terminal Equipment)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발신장치나 수신장치 또는 두가지 겸용사용, DCE에의해 생성된 클럭처리신호 사용
ex)라우터, pc, 서버등 *DCE와 같은 장치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
DCE(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나 통신서비스 네트워크 측을 연결하는 장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물리적 수단, 트래픽전송,
DCE와DTE사이 동기화를 위한 클럭신호제공
ex)모뎀, 인터페이스, NIC
X.21 : ITU-T표준, 동기식 디지털 라인을 통한 직렬통신방법 사용, ex)PC<->Router
V.35 :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네트워크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동기식 방식사용(48Kbps~168Kbps) ex)Router<->Router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 고객이 가진 장비 ex)DSU/SCU, Router등
Demarcation(경계) : 고객과 ISP업체의 책임구분경계
HDLC(High Level Datalink Control) : IOS에서 개발한 비트중심형 동기식 데이터링크계층 프로토콜
SLP(SerialLine Interface Protocol) : 전화선과 모뎀을 이용하여 동기식연결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프로토콜(TCP/IP기능만)
PPP(Point-to-Point) : 동기/비동기식 연결이 가능한 표준 프로토콜
Frame Relay : 패킷스위칭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VC(Virtual Circuit)를 생성하여 상호 라우터 연결
신뢰성높은 디지털라인 기반으로 캡슐화가 간단, 다른 WAN프로토콜에 비해 빠른 전송속도 보장
WAN의 3가지 회선방식 + VPN
전용선(Leased Line) : Router - - - -(HDLC,PPP,SLIP)- - - -Router
-중간에 L2혹은 WAN스위치가 연결되지 않고 직접 P-TO-P(1:1)로 연결(가격상승,보안좋음,끼어들기X) 임대회선사용(자신이 비용 지불)
VPN(MPLS VPN, IPsec VPN)
국내 MPLS VPN은 기본적으로 Route로 구성된 망(가상회선구성필요), 접속만 하면 어디든지 라우팅 가능
접속만 하면 전송회선수 관계없이 본/지사간 full-mesh 연결가능(지사확장성 높거나 사이트간 이중성 요구할 때 비용효율)
임대회선사용(자신이 비용 지불)
패킷교환망(Packet-switched) : Router - - - -Service Provider(X.25, Frame Relay, ATM)- - - -Router
가상회선(Virtual Circuit) : 본사와 지사간을 연결하는 가상회선을 제공하는 망
PVC => 전용선처럼 항상 연결된 서비스
SCV => 회선교환처럼 평소에 연결X(거의사용X)
자신에게 배정된 회선은 없지만 마치 자신의 회선이 있는것처럼 사용
회선교환망(Circuit-switched) : Router - - - -(TelePhone Company) - - - -Router
PC _ _ _ /
PSTN(공중전화망),ISDN,모뎀 등이 이 방식임
통신이 필요한 경우 CallSetup을 통해 회선연결(시간오래걸림), 교환기가 서로 연결해서 통신을 위한 임시회선생성
통신하는 순간에만 열어주고 끝나면 회선 회수